728x90
반응형
일본인 타깃 K-POP 큐레이션 여행 서비스
프로젝트 소개
- 일본인 타깃 K-POP 큐레이션 여행 서비스
프로젝트 기간 및 인원
- 프로젝트 기간
- 2023-03-06~ 2023-05-10 (약 2개월)
- 프로젝트 인원
- 서비스 기획자: 3명
- 주요 기능
- 선택한 최애 정보 기반 덕질 스팟 정보 제공
- 스트리트뷰(로드뷰) 기능
- 일본어 방청 신청 가이드
- 활용 툴
- 기획: Notion, Google Sheet
- 디자인: Figma, 망고보드
- 데이터: GTM, GA4, Google Looker Studio
- 노코드툴: Notion, 우피
프로젝트 관리
Notion으로 프로젝트 일정관리 및 문서화 진행



프로젝트 방법론
- Agile Scrum : 매일 데일리 스크럼 진행
프로젝트 산출물
프로토타이핑 시연 동영상
KPT 회고
KPT란?
Keep / Problem / Try의 약자로 프로젝트 진행 과정을 돌아보고
1. 앞으로도 유지했으면 하는 좋은 점(Keep)
2. 고쳐졌으면 하는 문제점이나 아쉬운 점(Problem)
3.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시도해볼 수 있는 해결책(Try) 에 대해 논의해보는 방법론
Keep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만족스러웠던, 성취감을 느꼈던 부분을 작성
다른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도 유지하면 좋을 것이라 생각되는 접근 방식 / 업무 수행 방식 / 태도 등을 작성
- 차근 차근 쌓아올린 문제 정의 및 최종 기능 도출 단계
- 시장 조사, 설문조사, IDI, MVP 배포 및 GA 설계까지 앞단에서 이루어져야 할 문제 정의 및 인사이트 도출을 꼼꼼하게 하였다.
- 설문조사와 IDI를 통해 실제 유저의 페인포인트를 들을 수 있었고, MVP 배포 및 GA 설계를 통해 빠르게 우리의 서비스에 대한 니즈를 검증하고, 기능을 추가 및 수정한 점에서 만족스럽다.
- 포기하지 않고 몸으로 부딪치는 실행력
- 일본인 타깃으로 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프로젝트 초반에 일본인 인터뷰이 모집, 가설 검증 과정에 어려움을 겪었다. 그러나 포기하지 않고 직접 홍대의 아이돌 생일카페를 방문, 실제 일본인 케이팝 팬을 발견하여 인뎁스 인터뷰를 진행했다. 어려움에도 굴하지 않고 포기하지 않고 직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로 뛰는 실행력이 중요하다는 것을 배울 수 있었다.
- 실제 유저의 페인포인트를 반영한 기획
- 일본인 케이팝 팬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면서 데스크 리서치에서는 발견할 수 없었던 실제 유저의 페인포인트와 니즈를 발견할 수 있었다. 초반 프로젝트의 가설과는 다른 유저의 페인포인트를 발견하면서, 기획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유저의 페인포인트와 니즈를 발견하는 것이라는 것을 다시 한 번 배울 수 있었다.
- 협업을 위한 피그마 디자인 컨벤션 정하기
- 단독이 아니라 3명이서 피그마 작업을 하는 것은 처음이었다. 초기 단계에서부터 네이밍 컨벤션, 디자인 컨벤션을 만들어서 와이어프레임과 프로토타이핑 작업을 진행했고, 그 결과 혼선 없이 빠르게 산출물을 낼 수 있었다.
- 성장을 위한 적극적인 질문
-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모르는 것이 생기거나 막히는 부분이 생겼을 때 수업 강사님들과 멘토님께 적극적으로 질문하고 피드백을 요청드렸다. 질문하는 걸 두려워 하지 않고 항상 배우고 개선하려는 태도로 임하여 프로젝트를 더욱 발전시킬 수 있었다.
- 하루에 두 번, 데일리 스크럼
- 우리 팀은 하루에 두 번 필수적으로 데일리 스크럼을 진행하였다.
- 당일 진행해야할 일의 리스트를 작성하고, 진행한 일을 체크하며 프로젝트를 꼼꼼하게 진행할 수 있었다.
- 편안하고 재밌었던 분위기
- 프로젝트 진행 내내 팀 분위기가 매우 좋고 긍정적이었다.
- 서로 동등한 위치에서 각자의 의견을 자유롭게 나누며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 사전에 제작한 <대방역에서 일 잘하는 11가지 규칙>에 따라 서로를 비난하지 않고 지지와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Problem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마주한 문제점이나 아쉬운 점을 작성
- 일본인 인터뷰이 리쿠르팅의 어려움
- 한국인이 아닌 일본인을 대상으로 한 서비스인 만큼, 인터뷰 및 가설 검증을 위한 일본인을 찾는 것이 어려웠다.
- 기획 방법론에 집중한 것
- 프로젝트 초반에 수업에서 배웠던 서비스 기획, 리서치 방법론을 복습하는 것에 매몰되어 프로젝트의 현 상황에 맞는 방법론을 사용하지 못해 초반 리소스를 낭비하였다.
- 일본어 MVP + 프로토타입 제작
- 일본인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작하면서 가장 중요한 점은 외국어 대응이었으나, 팀 내 일본어 네이티브 구사자가 없어 MVP와 프로토타입 제작에 어려움을 겪었다.
Try
앞서 정의한 Problem을 해결하기 위한 시도가 있었다면 작성
만약 별도 시도가 없었다면, 어떠한 시도를 하면 좋을지 작성
- 초반 일본인 인터뷰이를 찾는 것에 어려움을 겪었지만, 1)대학교 국제교류원 연락 2)세븐틴 민규 생일카페 현장 방문 3)지인 요청으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었다. 세븐틴 민규 생일카페에서 일본인 팬을 만날 거라고 기대하지 않았는데, 실제 3명의 일본인 팬을 만나서 인터뷰를 진행할 수 있었다! 직접 덕질 투어를 해본 일본인 팬의 인터뷰를 통해 데스크 리서치에서는 찾을 수 없는 현장의 유저 보이스를 찾을 수 있어서 뜻깊은 순간이었다.
- 초반에 기획 방법론에 매몰되어 현 프로젝트에 맞는 적합한 방법론을 찾지 못했다. 다행히 빠르게 강사님께 피드백을 요청하여 현재 프로젝트를 다시 점검하고 다른 방향으로 빠르게 피봇팅을 할 수 있었다.
- MVP와 프로토타입을 일본어로 제작하며 얕은 일본어 실력에 DeepL 번역기와 사전, 지인들의 도움을 더하여 일본인 유저에게도 최대한 자연스럽게 다가갈 수 있는 UX 라이팅이 되도록 노력하였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일본 앱 서비스들의 화면 구성과 사용된 문구들을 비교하고 참고하며 우리 서비스에 다수 적용하였다.
728x90
반응형
'기획 > [새싹X러닝스푼즈 서비스기획 1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새싹X러닝스푼즈 서비스기획 1기] Project 8주차 프로토타입 완성, 스토리 보드 제작, 최종 IA (0) | 2023.05.08 |
|---|---|
| [새싹X러닝스푼즈 서비스기획 1기] Project 7주차 와이어프레임 제작 (0) | 2023.04.23 |
| [새싹X러닝스푼즈 서비스기획 1기] Project 6주차: 설문조사, MVP,IDI 기반 기능 도출 및 IA 설계 (0) | 2023.04.15 |
| [새싹X러닝스푼즈 서비스기획 1기] Project 5주차: MVP 제작, 고객경험조사 (0) | 2023.04.08 |
| [새싹X러닝스푼즈 서비스기획 1기] Project 4주차 페르소나 작성, 중간 발표 및 점검 (0) | 2023.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