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새싹X러닝스푼즈 서비스기획 1기]

[새싹X러닝스푼즈 서비스기획 1기] Project 2주차: 핵심문제정의, 어피니티 다이어그램, 사용자 시나리오 작성

ericaforcoding 2023. 3. 18. 17:45
728x90
반응형

 

외국인 K-POP 팬들 핵심 문제 발굴

 

  • K-POP 글로벌 팬들은 1)언어 장벽 2)언어 장벽으로 인한 정보 격차라는 고질적 문제를 가지고 있음 

 

AMINO 서비스 예시

  • 아미노: K-POP 서브 컬처 위주 커뮤니티로, 외국인에게 실질적으로 한국 여행 시 도움을 줄 수 있는 정보 제공x

 

 

  • K-POP 아티스트가 방문한 카페, 맛집 등은 팬들을 중심으로 트위터로 주로 빠르게 공유되는 실정
  • 그러나 이 역시 한국어와 네이버 지도 중심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외국팬들에게는 접근성이 낮은 상황 

 

국내 K-POP 정보 공유 어플 voc 분석

  • 한국인을 타깃으로 하는 K-POP 정보 공유 어플들을 분석하였음
  • 타사 어플 voc 분석을 통해 타사 어플이 해결하지 못하는 유저들의 니즈/페인포인트 발굴

  • 공통 장점
    • 덕질에 소요되는 시간, 정보 탐색 뎁스를 줄여줌
  • 공통 단점
    • ”최애 아티스트가 없음”
    • “장소 정보 등 느린 업데이트”
    • “검색 기능”
    • “지역 별 카테고리”
    • “컵홀더 정보”
  • 무엇보다도, 이 세 개의 어플들 모두 주 타깃층이 “외국인”이 아니라 “내국인”이기 때문에, 외국인들의 한국 방문 시  K-POP 컨셉 여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 도출
    • 외국어 선택 시 번역 오류, 레이아웃 깨짐, 일부 기능 제한 등의 문제 발생

 

사용자 시나리오 작성

  • K-pop 관련 국내 여행 단계를 여행 전, 여행 중, 여행 후 3가지 단계를 나누어 각 단계별로 유저의 페인포인트/니즈 발견 및 기능 도출

사전 서베이 진행

서베이 진행 전 문제상황

  • 우리의 목표: 외국인을 위한 K-POP 큐레이션 여행 서비스를 개발하고 싶다.
  • 현실: 현실적으로 모든 언어를 대응하여 MVP를 개발하는 것은 불가능
  • 해결방안: 시장규모/K-POP 잠재 소비자수가 높은 외국인 타깃층부터 접근한다.

 

시장규모/K-POP 잠재 고객이 많은 시장 도출 : 일본 

  • 아래 통계자료에 따르면 일본은 음악 산업 주요 수출액 1순위로, 47.1 %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출처 :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3&tblId=DT_113_STBL_1020468

 

출처 : https://tongsangnews.kr/webzine/2204/sub2_3.html

 

  • 2022년 우리나라 음반을 가장 많이 수입해 간 국가는 **일본으로 8,574만9천달러(약 1,065억원)**를 기록
  • 이어 중국 5,132만6천달러(약 637억원), 미국 3,887만7천달러(약 483억원) 등이 뒤따름

 

출처 : https://www.yna.co.kr/view/AKR20230115036400005

 

  • 케이팝레이더가 발표한 ‘2022 케이팝 세계지도’ 에 따르면, 케이팝 소비량이 팬데믹 기간 동안 폭발적으로 증가(2.5배 가량)
  • 2022년 기준 한국 제외 일본이 가장 높은 k-pop 소비 현황을 보임.

 

출처 : https://conference.kpop-radar.com/session01/

 

 

 

서베이 제작 및 배포

  • 영어/일본어 두 가지 서베이를 제작하여 배포하였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