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설문조사 결과 분석
2. MVP 결과 분석
3. IDI 결과 분석
4. 최종 기능 도출
5. IA 설계
설문조사 결과 분석
- 설문조사 기간: 2023.03.16~2023.04.09
- 총 입력자 수: 30명

설문조사 결과
1. K-pop 관련 정보 수집 채널
- 인스타그램 > 트위터 > 유튜브 > 팬커뮤니티 > 틱톡 순으로 이용
- K-pop 팬들은 K-POP 관련 정보 수집 시 평균 3.6개의 채널 사용
2. 한국관광 시 경험한 K-pop 관련 장소
- 가장 방문하고 싶었던 장소와 실제로 방문했던 장소 순위는 지하철 전광판 > 사옥 > 생일 카페 > 최애가 언급한 식당/카페으로 동일.
3. K-pop 관련 여행 시 불편한 점
- '교통 문제'가 가장 큰 요소를 차지하고 있었음
4. 설문조사 기반 IDI 추가 질문 도출
1. 다양한 채널을 통해서 정보를 수집하고 있는 K-POP 팬들! 이에 대해 불편함은 없을까?
2. 전광판이 제일 높게 나온 이유는 뭘까? 최애가 언급한 식당/카페는 왜 낮게 나왔을까? (교통문제? 언어문제?)
3. 교통문제가 불편하다는데… 정확히 어떤 교통 문제일까?(교통편?길찾기?언어 문제? 등등)
MVP
MVP 분석 개요

- 검증 기간: 4월 7일~4월 14일로 총 7일
- 사용자수: 205명
- 가설 설정
- MVP의 기능에 대한 니즈 파악
- 큐레이션할 정보의 우선순위
- 핵심 지표: 버튼 클릭 수
가설 설정 및 지표 설계
이벤트 설계를 통해 검증하고자 했던 가설은 다음과 같다. MVP의 기능에 대한 니즈 파악과, 실제 큐레이션할 정보의 우선순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기능 관련
- K-POP 큐레이션 여행 서비스에 대한 니즈가 있을 것이다.
- 검증 방식: 인덱스 페이지에서 큐레이션 여행에 대한 페이지로 이동하는 버튼의 클릭수로 추정한다.
- 이벤트명: click_map
- 최애 아이돌의 소식을 한 번에 몰아볼 수 있는 서비스에 대한 니즈가 있을 것이다.
- 검증 방식: 인덱스 페이지에서 뉴스에 대한 페이지로 이동하는 버튼의 클릭수로 추정한다.
- 이벤트명: click_news
큐레이션 정보 관련
큐레이션 정보 가설 설계 접근 방식

- 기존 설문조사를 통해 K-POP을 좋아하는 일본인들의 1)한국 여행 시 가장 방문하고 싶은 장소와 2)실제 방문한 장소를 파악할 수 있었다.
- 가장 방문하고 싶은 장소 1위, 실제 방문한 장소 1위로 꼽힌 “지하철 전광판”의 경우는 이미 수요가 파악되었다고 판단하여 MVP 설계 시 버튼의 위치를 클릭율이 낮게 나올 확률이 높은 4번째 버튼에 삽입하였다.
- 가장 방문하고 싶은 장소 2위, 실제 방문한 장소 2위로 기록된 “생일카페”의 경우는 트위터 크롤링 결과 및 IDI 결과 분석으로 충분한 수요가 있다고 판단되어 버튼 이벤트로 검증하지 않고 페이지 하단에 캘린더 형식으로 배치하였다.
- "액티비티"의 경우 설문조사를 통해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할 수 없었으나, 시장조사 결과 타사 어플의 경우 액티비티 정보를 제공해주는 기능이 있었기 때문에 MVP를 통해 재검증을 하고자 하였다.
큐레이션 정보 가설 및 지표 설정

- 최애가 언급/방문한 카페, 식당에 대해 알고 싶은 니즈가 있을 것이다.
- 최애가 속한 사옥 정보에 대해 알고 싶은 니즈가 있을 것이다.
- 최애의 지하철 전광판 정보에 대해 알고 싶은 니즈가 있을 것이다.
- 최애가 방송 등에서 체험한 액티비티 정보를 알고 싶은 니즈가 있을 것이다.
- 검증 방식 및 이벤트명
- あなたの推しの場所を探してみよう!페이지에서 식당 버튼, 사옥 버튼, 전광판 버튼, 액티비티 버튼의 클릭수로 추정한다.
- 이벤트명: click_fnb, click_building, click_subway,click_activity
MVP 결과 분석

기능 관련
- K-pop 여행 큐레이션에 대한 검증:
- 인덱스 페이지 K-pop Curation MVP의 조회수 483회, "click_map" 이벤트 수 132회로 클릭율 27%
- 최애 뉴스 몰아보기에 대한 검증:
- 인덱스 페이지 K-pop Curation MVP 의 조회수 483회, "click_news" 이벤트 수 29회로 클릭율은 6%
큐레이션 정보 관련
K-POP 큐레이션 서비스 페이지 조회수 207회를 모수로 설정하였음.
- 최애가 언급/방문한 카페,식당 정보(click_fnb): 클릭율 29%
- 최애가 속한 사옥 정보(click_building): 클릭율 15%
- 최애의 지하철 전광판 정보(click_subway): 클릭율 8%
- 최애가 방송 등에서 체험한 액티비티 정보(click_activity): 클릭율 8%
또한 생일카페 관련 페이지의 유입율이 높게 도출되어 생일카페 정보에 대한 높은 수요를 파악할 수 있었다.
CTA 버튼
CTA 버튼 설계 목적

CTA 버튼을 클릭하면 1)'최애 아이돌 그룹' 입력 창과 2)’이메일’ 입력 창으로 이루어진 구글 설문지가 제공된다. 구글 설문지를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최애 아이돌 그룹’ 입력창: 아이돌 정보 크롤링 우선순위 도출
- '이메일' 입력창: 서비스 실수요 파악
CTA 버튼 결과 분석


- To Be Continued 페이지의 경우 총 조회수 137회, CTA 클릭수은 24회로 CTA 버튼의 클릭율은 17%로 나왔다.
- CTA 클릭수 24회에서 실제 구글폼 응답은 2개가 입력되었고, 최종 전환율은 8%를 기록하였다.
- 이메일까지 입력된 구글폼의 갯수는 0개를 기록하였다.
IDI
IDI 분석
- 진행 일자: 4월 7일, 4월 10일
- 진행 장소: 홍대입구 역 근방, 한성대학교
- 진행 인원: 일본인 여행객/유학생 총 5인, 생일카페 이벤트 주최자 1인
우리 서비스의 메인 타깃 유저가 될 일본인 관광객들의 Real Voice를 확인하여 정확한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한국을 여행 중인 K-pop 팬 일본인, 유학 생활을 하고 있는 일본인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일본인 여행객 20대 여성 학생 B씨&S씨
“인스타그램에서 찾은 장소의 실제 위치를 찾아가는 것이 어려워요.”

- 정보 수집 및 탐색
- 인스타그램을 통해 한국 여행과 K-pop에 관련된 정보를 얻는다.
- 인스타그램에서 장소 관련 콘텐츠를 확인해도, 구체적인 위치 정보는 없어 따로 찾아봐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 한국에서의 이동 및 체험
- 한국 장소들의 실제 위치를 모르기 때문에 찾아가는 것이 어려웠다.
- 한국 지하철역의 아이돌 전광판 광고를 보고 기분이 좋았으며, 사옥을 방문하고 싶다.
- 희망하는 서비스
- 레스토랑의 예약과 최애 아티스트가 앉았던 장소, 먹은 메뉴를 알려준다면 성지순례에 큰 도움이 될 것같다.
일본인 여행객 50대 여성 A씨
“지하철 역에서 내려서 생일 카페까지 찾아오는 길이 어려워요”

- 정보 수집 및 탐색
- 트위터를 통해 K-pop 관련된 정보를 수집한다.
- SNS 채널용으로 인스타그램을 사용, 정보 확인용으로 트위터를 따로 사용하고 있다.
- 한국에서의 이동 및 체험
- 구글맵의 도보 네비게이션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지하철 역에서 하차 후 길찾기에 어려움을 겪었다.
- 한국 도로와 장소가 익숙하지 않아 도보로 찾아가는 것이 어렵다.
- 희망하는 서비스
- 언어적 장벽으로 인해 번역이나 지도 서비스가 있었으면 좋겠다.
일본인 유학생 22세 H씨
“최애와 똑같은 곳에 가보고 싶고, 똑같은 메뉴를 먹는 성지순례를 하고 싶어요.”

- 정보 수집 및 탐색
- 트위터와 인스타그램를 통해 K-pop 관련된 정보를 수집한다.
- 빠른 정보 확인을 위해 트위터를 주로 사용하며, 팬미팅・컴백・콘서트 등 관련 키워드를 검색하여 정보를 얻는다.
- 한국에서의 이동 및 체험
- 한국에 온 후, 생일카페 이벤트와 사옥에 방문해본 적이 있다.
- 아직 한국에 온지 얼마 되지 않아, K-pop 이나 최애와 관련된 장소의 위치가 너무 멀면 찾아가기 어렵다.
- 희망하는 서비스
- 한국에서 열리는 콘서트와 음악 방송 일정 정보를 쉽게 확인하고 싶다.
일본인 유학생 24세 N씨
“전광판 광고를 보고 싶어도, 정확한 위치를 모르고 정보가 정리되어 있지 않아서 못 찾겠어요.”

- 정보 수집 및 탐색
- 트위터와 인스타그램, 구글 렌즈 이미지 검색을 통해 K-pop 관련된 정보를 수집한다.
- 트위터에서 정보를 확인해도, 한국의 맛집이나 카페의 정확한 정보를 찾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
- 정보를 빠르게 확인하고 싶어 직접 구글 이미지 검색을 하지만, 정확하지 않은 정보도 너무 많아 불편함을 겪었다.
- 한국에서의 이동 및 체험
- 트위터에서 관련 정보를 확인한 후, 네이버맵의 북마크+루트 생성 기능을 사용하여 관련 장소를 방문한다.
- 최애 전광판 광고를 찾아가서 보고싶지만, 아직 한국의 지하철 역과 출구의 정확한 위치를 잘 모르고, 정보 정리가 잘 되어있지 않아 찾아가기 힘들다.
- 희망하는 서비스
- 일본인도 알아보기 쉽게 정리된 음악 페스티벌 ・ 프로그램 방청 티켓팅 하는 방법 가이드가 필요하다.
+) 메인 타깃인 일본인 관광객 대상 인터뷰 이외에 추가적으로 진행한 생일 카페 이벤트 운영진 인터뷰를 통해 이벤트 주최 시에 발생하는 페인포인트 확인 및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다.
홍대 생일카페 이벤트 운영진 한국인 직장인 24세 K씨
“이벤트 준비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장소 대관과 디자인 외주 문제였어요.”

- 이벤트 주최에 필요한 금전적인 부분이 크다보니, 주로 직장인들이 이벤트를 주최 및 운영하고 있다.
- 4~6개월 전에 장소 대관을 마쳐야하는데, 이 과정에서 카페에 일일이 연락을 돌려야하고 연락이 누락되기도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등 효율적인 이벤트 장소 대관 예약 프로세스가 없는 상황이다.
- 관련 굿즈 제작을 위해서도 디자인 외주를 직접 찾아보고 예약해야하는 등 디자인 외주 예약 프로세스 또한 부재한다.
- 일본, 미국, 에스파냐 등 다양한 국적의 외국인들이 이벤트 장소를 방문하고 있으며 간단한 한국어를 제외하면 영어로 응대를 하고 있다.
최종 기능 도출
(여행 전 단계) K-pop 관련 정보 인지 및 탐색의 측면
- 정보 수집 시 다양한 앱 서비스를 혼용
- 정확한 정보를 빠르게 얻고싶다는 니즈
👉 정확한 정보를 한 번에 모아 빠르게 제공
(여행 중 단계) K-pop 관련 장소 탐색 및 이동의 측면
- 일본 구글맵 기준 등록되지 않은 한국 카페 및 레스토랑 정보가 많았음
- 한국 장소에 대한 정확한 위치를 알지 못 함
- 도보로 해당 장소를 찾아가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음
👉 사용자 편의성 증대를 위한 로드뷰 기능 제공
(여행 중 단계) K-pop 관련 체험의 측면
- 최애가 먹은 음식을 똑같이 먹고, 최애가 갔던 장소를 따라 방문하는 성지순례에 대한 니즈
- 최애가 출연하는 한국의 음악 페스티벌/음악 방송에 참여하고자 하는 니즈
- 니즈는 있으나 일본어로 된 구체적인 정보가 없어 체험이 어려움
👉 유저에게 맞춘 주문/티켓팅 일본어 가이드 제공
IA
- 설문조사, MVP, IDI를 기반으로 한 기능도출 및 IA는 다음과 같다.

6주차 3줄 요약
1. 설문조사, MVP, IDI 결과 분석
2. 기능 도출
3. IA 설계
7주차 계획
1. 와이어 프레임 작성
2. 스토리보드 작성
3. 지표 설계
'기획 > [새싹X러닝스푼즈 서비스기획 1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새싹X러닝스푼즈 서비스기획 1기] Project 8주차 프로토타입 완성, 스토리 보드 제작, 최종 IA (0) | 2023.05.08 |
|---|---|
| [새싹X러닝스푼즈 서비스기획 1기] Project 7주차 와이어프레임 제작 (0) | 2023.04.23 |
| [새싹X러닝스푼즈 서비스기획 1기] Project 5주차: MVP 제작, 고객경험조사 (0) | 2023.04.08 |
| [새싹X러닝스푼즈 서비스기획 1기] Project 4주차 페르소나 작성, 중간 발표 및 점검 (0) | 2023.04.02 |
| [새싹X러닝스푼즈 서비스기획 1기] Project 3주차: 린캔버스, 설문조사 중간 점검, SNS 계정 생성 및 관리 (0) | 2023.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