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UX

(19)
레뷰 땡겨요 UX 라이팅 '지역'탭을 제외하고 타 탭 진입 후 드래그 시 해당 탭 관련 설명 문구가 출력됨 오늘 오픈 탭에는 "매일 오전 10시 신규 캠페인 업데이트!" 제품 탭에는 "프로필을 완성하면 선정 확률이 올라가요." 기자단 탭에는 "기자단 캠페인은 방문, 배송없이 참여할 수 있습니다." '배달의 민족'은 탭 드래그 시 메뉴 선택 룰렛으로 소비자에게 재미있는 UX를 제공했다면, 레뷰의 경우는 해당 탭의 안내메시지를 출력하여 지면을 효율적으로 사용한 것이 인상적이었다.
배민 땡겨요 - "이제 그만 놔줘요..." (엣지 케이스UX 라이팅) -배달의 민족 홈/ 타 탭에서 최대 범위까지 드래그 시 '이제 그만 놔줘요...' 문구 출력 -사소하지만 세심하면서 재밌는 UX 라이팅으로 소비자에게 재밌는 UX 및 브랜드 체험 제공 https://m.blog.naver.com/thetimelog/222277817067 [Daily UX writing] 땡겨요 거의 모두가 이용하는 배달의 민족. 얼마 전 배민라이브도 새롭게 오픈하고, 만화경이라는 웹툰 서비스도 ... blog.naver.com
하루5분UX(~7장) 제1장. 핵심 아이디어 1. UX란 무엇인가 p.20: UX 디자이너의 목표는 사용자가 쓰기 편하게 만드는 데 있다 p.21: 실제 UX란 사용자 경험 디자인 프로세스를 따라 '진행'하는 것 2. UX의 5대 핵심 요소 사용자 경험 디자인 프로세스: 심리, 사용성, 디자인, UX 라이팅, 분석 심리 무의식의 영역 사용자가 의도한 바는 무엇인가? 이 프로세스는 사용자의 기분을 어떻게 만드는가? 사용자가 목적한 바를 이룰 때까지 어느 정도의 수고가 드는가? 사용자가 이 행동을 반복할 시 어떤 습관이 생기는가? 사용자는 버튼을 클릭할 때 무엇을 예상하는가? 사용자는 배운 적 없는 내용을 이미 잘 알고 있다고 가정하진 않았는가? 사용자가 기꺼이 다시 할 만한 경험인가? 그렇다면 왜 그런가? 얼마나 자주 가능한가..
[UI/UX 비교]신문에는 어떤 드래그 기능을 넣어야 할까? 나처럼 온라인으로 신문을 보는 사람들이 단언컨대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능이라면 "클릭"과 "드래그"일 것이다. 필자의 경우 "클릭"은 기사를 선택할 때, "드래그"는 기사 본문에서 일부 내용을 복사하여 수집하고 싶을 때 사용한다. 기존 온라인 신문에서는 마우스 드래그 시 별도의 기능이 출력되지 않았는데, 최근 여러 온라인 신문들을 읽다보니 마우스 드래그에도 다른 기능들을 넣은 곳들이 종종 보여 비교하는 재미가 있었다. 1. 좋은 UI 예시: 독자가 드래그를 하는 '이유'에 집중 1. 동아일보:독자가 드래그를 하는 이유를 한 가지로 정의 동아일보의 경우 독자가 본문에 드래그를 하는 이유를 한가지로 간단하게 정의했다. 그건 바로 '공유하기'. 동아일보에 로그인하지 않은 유저도 공유하기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헤이문 회원가입 페이지 1. 알람 알럿 출력 2. 회원가입 온보딩 페이지 - 카카오로 계속하기(가입하기x), 버튼 상단에 '3초만에 가입하기' 애로우 출력 - 회원 가입 페이지에 어플 화면/녹화본이 아니라 [둘러보기]버튼 배치 --> 회원가입 전에 해당 어플을 둘러볼 수 있음 [둘러보기] 버튼 클릭 시 가입 전 해당 어플을 둘러볼 수 있음 - 가입 시 "민감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가 필수
네이버 프리미엄 콘텐츠 구독해제 프로세스 서비스 분석 캐치 프레이즈 “누구나 쉽게 콘텐츠를 생산하고 유료로 판매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콘텐츠 생산, 발행, 판매, 연동까지 온라인 퍼블리싱을 한번에 할 수 있으며 네이버를 찾는 사용자들을 구독자로 만들 수 있습니다. 가치있는 콘텐츠를 판매하는 창작자라면 지금 바로 판매회원으로 가입해 보세요! '재능 부업’ 플랫폼 부상 MZ세대 중심으로 취미, 재능 기반 N잡 관심 증가 잡코리아 조사 결과 직장인 10명 중 4명이 본업 외 활동으로 수익 활동 취미나 특기를 활용해 N잡을 하고 있는 직장인은 75.3% N잡러의 기회를 살려주는 다양한 재능 부업 플랫폼도 주목 참고 자료: https://mobile.newsis.com/view.html?ar_id=NISX20220303_0001780464#_PA 이..
카카오톡 이모티콘 캐러셀 UI 카카오 이모티콘> 홈 캐러셀 현재 재생되는 캐러셀 페이지의 인디케이터를 원통형으로 표시 --> 유저에게 해당 캐러셀이 앞으로 몇 분간 재생될지 알려줌 인기 이모티콘 시리즈> 해시태그 칩 클릭 시 우측으로 화면 전환
아트파인더(지도 기반 전시회 정보 제공) 서비스 분석 이 서비스가 정의하는 핵심 문제는 무엇인가요? 어디에서, 언제 볼 수 있는지 어렵기만 했던 미술 정보 전시 —> 쉽게 찾을 수 있는 미술 정보 전시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비스는 어떤 문제해결방법을 제시하고 있나요? 지도 기반 전시정보 제공 핵심고객은 누구인가요? 미술 전시회 애호가 UX 분석 좋았던 UI/UX 를 적어주세요. 1. 단일 날짜, 기간 선택 가능 2. 전시회 정보 선택 시 작가 정보, 주변 전시회 정보 출력 3. 작가, 전시관 팔로우 기능 팔로우 시 알람을 받아볼 수 있다고 함 아쉬웠던 UI/UX 를 적어주세요. 1. 정리되지 않은 필터 (All/전시중/곧 끝남/무료/ 곧 시작) 날짜 기준과 가격 기준이 혼재되어 산만하다는 인상 무료 필터를 맨 앞에 출력하면 덜 산만하다는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