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UX

(19)
피그마 기본 툴 정리 #1. Move와 Scale의 차이점 피그마 기본 툴 정리 #1. Move와 Scale Move와 Scale 피그마 상단 툴에서 가장 첫번째에 위치한 Move! Move만 있는 줄 알았는데, 눌러보니까 Scale이라는 기능도 있었다 ㅎㅎ 두 기능을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Move: 가장 기본 상태 / 요소를 선택하거나 옮길 때 사용 무브툴로 확대, 축소 시 기존 아웃라인 두께가 유지됨 Scale: 선의 굵기, 비율을 일정하게 유지한 채 크기를 키울 때 사용 비교적 최근 추가된 기능 스케일툴의 경우 아웃라인 두께가 도형의 비율을 유지한 채로 커진다 다양한 사이즈의 아이콘을 만들 때 대응 가능 Move VS. Scale 예시 - 좌, 우 모두 6x6 사각형, stroke 1 - 좌측 사각형은 move로 12x12로 확대 - 우측 사각..
피그마 기본 툴 정리 0.개요 피그마 기본 툴 정리 1. Move, Scale move: 가장 기본 상태 / 요소를 선택하거나 옮길 때 사용 Scale: 선의 굵기, 비율을 일정하게 유지한 채 크기를 키울 때 사용 2. Frame, Section, Slice Frame: 캔버스 / 프레임 안에 그려진 요소들을 프레임에 포함된 Section: 영역을 만들어 요소를 구분 지을 수 있음 Slice: 특정 영역을 지정해 이미지로 추출할 수 있음 3. 도형 Rectangle~Star: 해당하는 도형을 그릴 수 있음 Place image/video: 이미지, 영상 삽입 가능
피그마의 장점 10월에 해커톤을 나가면서 처음으로 만져보게 된 피그마! 해커톤을 하면서 피그마를 공부할 수 있을 줄 알았는데 국비 수업과 해커톤을 병행하면서 따로 피그마를 공부하는 시간을 내기에는 힘들었다. 결국 컴포넌트, 오토 레이아웃 등 피그마의 기본적인 요소들을 전혀 모른 채로 해커톤 일정에 맞춰서 제출용 와이어프레임을 그리는 데에 집중할 수밖에 없었다. 피그마를 한 번쯤 기초부터 배워보고 싶었는데 좋은 기회로 피그마를 배울 수 있게 되어서 잊지 않도록 블로그에 기록해두기로! 1. 피그마란? 웹 기반의 클라우드 소프트웨어 별도의 설치 없이 사용 가능 운영체제의 호환성에도 영향을 받지 않음 윈도우, 맥, 리눅스 모두 사용 가능 데스크탑 앱 및 모바일 앱 제공 2. 피그마의 장점 URL 전달로 파일 공유 가능 기존 ..

728x90
반응형